본문 바로가기
모의고사 리뷰 및 총평

3평 국어 문학으로 바라본 출제자들의 난이도 조절 방식

by 수능도사 2023. 4. 4.
반응형

오늘은 3평 문학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단순하게 그냥 3평 문학이 어려웠어~ 정도의 이야기보단

출제자들이 어떻게 문학에서 난이도를 조절하는지 

3평을 통해 세세하게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크게 4개의 파트로 나눠보겠습니다. 

한번에 쓰면 분량이 너무 많아서 두 편으로 나눠서 쓰겠습니다!

 

<문학에 대한 효율적인 접근>

 

문학 문제를 풀 때 효율적인 풀이를 위해 꼭 알아야 하는 개념이 있습니다.

바로 발문인데요. 사실 많은 친구들이 간과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발문에 따라 문제를 효율적으로 풀어나가는 방식이 상이합니다.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는 선지의 경우

 5개의 선지 중 4개가 적절치 않은 선지입니다

 

적절치 않은 선지는 지문에 없는 내용과 지문과 반대되는 내용으로 구성됩니다

 

즉 우리가 이 문제에서 보는 대부분의 선지는 

사실 지문에 없는 내용일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그러나 우린 적절한 것을 고르라는 발문 때문에 

선지를 보고 이 선지가 지문에 있다라고 가정하고 

이 선지의 내용을 찾으러갑니다. 

 

그러나 없는 내용을 찾으려고 하니 여기서 많은 시간이 소요됩니다

심지어는 선지에 이 단어가 지문의 이 내용이라고 볼 수 있나..?와 같은 주관이 개입되기도 하죠.

 

그런데 발문을 다시 한번 보세요.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세요 입니다.

 

지문의 수많은 내용 중 가장 적절한 단 하나의 선지는 

글의 주제성과 반드시 연관되어야 합니다.

 

왜냐면 글의 내용과 가장 '적절한' 선지이니까요.

 

그렇다면 우리가 보기를 통해서나 지문을 통해서 확보한 주제성으로 

선지를 보고 쉽게 정답일 가능성이 가장 높은 선지를 골라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선지만 지문에 가서 확인한다면 

굉장히 효율적인 시험 운용이 가능합니다

 

최근 출제자들은 적절치 않은 선지들을 

글의 분위기나 주제에 매우 흡사하지만 없는 내용으로 구성됩니다.

 

그러니 시험장에서 세모 표시 치는 선지들이 많아지고 

애매한 선지들이 많아지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그래서 이러한 발문의 선지들은 

반드시 1번부터 지문으로 가면서 일일이 지운다는 마인드보단

선지를 훑어보고 주제성에 가장 밀접한 선지 하나를 고르는 것이 유리합니다.

 

다음은 적절치 않은 선지에 대한 접근입니다.

반대로 5개 중 4개가 적절한 선지입니다.

즉 지문에 실제 있는 내용이라는거죠.

 

문학 지문에 있는 모든 표현과 내용들을 주제성을 드러내기 위해 존재합니다.

그러니 적절한 선지들은 반드시 그 주제성을 담고 있어야 합니다.

 

이걸 바탕으로 선지를 훑어보고 주제성과 밀접하면 

어차피 지문으로 돌아갔을 때 적절할 확률이 더 높으니 

 

나중에 보고 주제성과 거리가 먼 선지들을 

지문으로 가서 먼저 확인하자라는 틀을 세울 수 있게 됩니다.

 

이걸 바탕으로 3평을 한번 봐볼게요.

 

위의 보기에서 나와있듯 이 글의 주제는 

자연에서의 즐거운 삶 한가로운 삶입니다.

선지를 딱 보셨을 때 3번이 그 주제성과 가장 밀접해보입니다. 

 

그렇다면 전 3번선지만 지문에 가서 확인하고 답을 찍겠습니다

왜냐면 이 문제 선지의 대부분은 없는 내용일테니

 굳이 가서 보면 시간 낭비일테니까요. 

 

마찬가지입니다. 

다의 주제는 동해라는 장소의 매력을 전하는 것이 글의 주제입니다.

이를 가장 잘 드러낸 2번선지만 확인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그러나 이렇게 발문에 따른 접근을 하지 않고 

선지를 일일이 확인한다라고 가정했을 때

가장 적절한 것을 물어보는 문제가 상대적으로 시간이 더 많이 소요됩니다.

왜냐면 1번부터 없는 내용을 찾으러 갈테니까요. 

 

 

 

 

대부분의 문제가 적절치 않은 것으로 구성되는 보기 문제를 제외하고

 

나머지 문제에서 가장 적절한 것을 물어보는 선지를 다수 배치했습니다. 

이로써 체감난이도와 시간소요를 증가시켰습니다. 

 

현대시 지문은 다음 주제와 연관시켜 설명하겠습니다.

 

<기출 분석의 부재>

 

3평의 여러 문제에선 기출 분석을 통한 대비책이 정말 중요했습니다.

사실 23번은 예전 기출을 모티브로 만들었습니다.

 

오른쪽 관동별곡 지문처럼 평가원이든 교육청이든 

고전시가에서 지문이 긴 형태에선 

대부분 비문학 일치문제처럼 내용에 대한 

세부 일치를 물어보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 중에서 특히 장소와 관련한 일치 문제가 많았습니다. 

38번이 대표적인 그 예시입니다.

 

만약 이러한 문제의 틀을 알고 있었다면

 

어차피 물어보는게 장소에 따른 내용 일치일테니

중략까지 끊고 하나씩 선지들을 지우고 지문 읽으면서 

해당 장소들의 내용들에 밑줄을 긋는 

일종의 대비책을 마련할 수 있었을겁니다

 

그렇다면 23번을 훨씬 빠르고 효율적으로 풀 수 있습니다.

 

위 문제는 대표적인 장치 문제입니다.

지문에 있는 문장에 밑줄을 긋고 물어보는 문제의 형태입니다.

 

해당 문장이나 단어가 지문의 장치로써 

어떤 역할을 했는지를 물어보는게 출제의 의도입니다.

 

지문의 장치는 당연히 글의 주제성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함입니다.

 

그러니 저 선지들의 답은 반드시 주제성과 연관시켜 생각해야만 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친구들이 해당 문장을 가지고 판단하려 합니다.

 

자서전 지문에서의 45번도

해당 문장만을 가지고 판단하려 했기에 오답률이 꽤 높았던 문제입니다.

 

마찬가지로 26번도 글의 주제인 공간과 연관시켜 1번선지를 골라내지 않고

해당 문장만을 가지고 문제를 풀었다면 또 힘든 선지였습니다.

왜냐면 선지 대부분은 그럴듯한 없는 내용이였을테니까요.

 

이처럼 기출에서 해당 유형에 대한 출제의도와 그에 맞는 풀이법을

가지고 있으면 정말 수월하게 풀어낼 수 있습니다.

 

 

글로 전달하기엔 너무나 내용이 많아서 

아래 영상으로 자세한 내용을 추가로 더 전달합니다.

이어지는 내용은 주말 중으로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항상 고생 많으신 수험생분들 정말 응원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bi5Co33Jl0c

 

 

 

출처: https://c11.kr/1cmjk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