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제, 개념을 서술하는 문장엔 잉여정보가 없다 (1)
- 20.09 점유소유 완벽 해설 -
"첫 문단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새로운 개념이 나오는 문장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강사들이 항상 강조하는 바이지만, 그 효과는 두루뭉실합니다.
저 또한 이렇게 배웠고 항상 이는 갈증으로 남아있었습니다.
이를 해소하고자 저는 지문이 담는 화제의 특성에 따라 갖게 되는 필연적 논리들을 탐구하기 시작했고
이들을 통해 채계적인 지문 예측법을 만들었습니다.
이 예측법이 통하지 않는 지문은 왜 통하지 않는지도 정리를 하였습니다.
그 맛보기가 바로 주간케인07입니다. 주간케인의 대부분의 지문들에는 이 예측이 담겨있고요.
제 수업의 핵심 내용들이 간접적으로나마 소개돼있습니다.
( https://orbi.kr/00031447089 )
오늘 소개할 내용은 화제와 새로운 개념을 소개하는 문장들을 합리적이고 논리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어떻게 지문 독해의 유기성을 높이는가입니다.
첫문단을 통한 예측보다 훨씬 실전적이고 체화도 쉬울 겁니다.
‘평가원이 요구 하는 만큼만 이해해야 한다’는 주장이 어떤 말인지 설명하는 글이기도 합니다.
먼저, 한 가지 전제가 있습니다.
꽤 익숙하게 들어본 말일 겁니다.
잉여정보라 함은 지문의 거시적인 흐름을 형성하는데 결정적이지 않음과 더불어 출제의 확률도 낮은 정보들을 말합니다.
물론 예외도 있습니다. 당연하죠. 사실 생각보다 꽤 자주 발견됩니다.
이게 왜 문제가 되지 않는지, 그리고 이를 어떻게 다룰지는 시리즈의 마지막에 설명드리겠습니다.
그리고 하나 더,
무슨 소리인가 싶죠?
이게 무엇을 말하는지 깨닫고 100%체화한다면 그 어떤 지문도 두렵지 않습니다.
자, 본론 들어갑시다.
이 태도의 강력함을 느낄 수 있는 첫 번째 지문.
■ 20.09.점유소유
장담컨데 90%의 수험생들은 이 지문을 제대로 분석, 이해하지 못하고 수능장에 들어갑니다.
반면 이 지문을 제대로 학습한 학생들은 모두 본 글의 주제를 깨달은 학생일 겁니다.
제대로 체화되지 않은 학생은 끝까지 애매 모호한 상태로 독해를 마칠 것이고
그렇지 않은 학생의 경우, 평가원이 우리에게 원하는 정도까지의 이해가 가능하게 됩니다.
두 번째 문단부터 느낌이 쎄했죠. 애초에 [A]로 묶이며 문제 하나로 할당되는 내용이었습니다.
직접점유를 설명하는 문장을 봅시다. 파란색과 빨간색으로 구분하였죠?
여러분은 어디에 주목하실 건가요?
대부분 빨간색이겠죠.
그래서 이후의 독해가 무너졌던 것입니다.
다시,
지문의 주제와 관련된 새로운 개념을 설명하는 문장엔
잉여정보가 없습니다.
직접점유는 물건을 물리적으로 지배하는 상태.
여기서 의문은
‘무엇이 물리적인가?’
왜 해당 문장에서 물리적으로 물건을 지배하는 상태의 예시를 들었겠어요?
이 물음들에 대한 답을 주기 위한 거에요.
물론 물리적으로 지배하는 상황은 이들 말고도 다양합니다.
그럼 여기서 다시 질문.
왜 평가원이 예시를 이 두 개만 들었을까요?
이 상황을 후술할 거니까!
[A]의 역할은 점유 소유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는 것입니다.
법 지문이므로 ‘점유’와 ‘소유’라는 법 개념이 현실 상황에 적용되겠죠.
그 상황이 바로 직접점유를 설명하는 문장에서 들었던 두 예시입니다.
해당 문장에서 특정된 두 개의 예시를 든 두 번째 이유는 간접점유의 설명을 돕기 위함입니다.
간접점유는 물건을 빌려쓰거나 보관하는 사람에게 반환청구권을 가지는 상태입니다.
직접점유와 쌍을 이루는 개념임을 알 수 있죠.
그럼 여기서 드는 의문 하나
직접점유자가 있으면 항상 간접점유자가 있을까요?
당연히 아니죠.
앞서 물리적으로 물건을 지배하는 상황은 제시된 두 상황 외에도 다양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물건을 물리적으로 지배하는 상태 중 가장 일반적인 상태는 물건의 주인이 물건을 사용하고 있는 상태겠죠.
직접점유에 제시된 예시에 주목하여 간접점유와 직접점유가 서로 쌍을 이루는 개념임을 파악하고,
간접점유자의 존재가 필연적인지에 대한 물음을 하였다면,
직접점유의 상황이 세 가지가 있음을 추론할 수 있습니다.
정의 내의 예시를 납득하고 넘어가면 되는
일반적인 예시라 간주하고 넘어간 학생들이라면,
‘물리적’이라는 추상적 키워드의 기준을 잡지 못 한 채
그 다음 문단을 독해했을 것이고
그럼 깔끔한 독해는 물 건너 간 겁니다.
이 사고들이 어디에서 또 효과를 발휘할까요?
아래 문단을 봅시다.
물론 본 지문을 다 맞으신 학생들,
좀 더 좁게 보면 해당 문단의 이해를 성공하신 분들은 위와 같은 사고가 됐을 겁니다.
그러나, 직접점유를 설명하는 문장에서 제시된 예시들이 그대로 쓰일 것임을 알고 접근하는 학생과,
직접점유가 물리적 지배 상태를 의미함만을 챙기고 독해한 학생들의 이해 속도의 차이는 매우 큽니다.
두 번째 문단이 [A]로 묶인 이유는
해당 내용을 따로 한 문제에 할당하여 물어볼 것이기 때문입니다.
②, ④, ⑤번 선지는 주목할 만 합니다.
19.11.31이 지문의 [A]내에 있는 정보만을 물어보았다고 해서
이 지문에 똑같은 논리로 접근하면 안됩니다.
이런 유형의 문제는 다른 문단에서의 정보도 엮어서 물어볼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오히려 평가원이 매우 좋아할 만한 출제입니다.
평가원은 다양한 정보를 엮을수록 고난도의 선지가 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이제, 평가원이 왜 생각보다 친절한지
그래서 잉여정보가 없음을 인지하고 읽음은 왜 중요한지
실감이 조금은 나실까요?
'수능 공부법 > 수능 국어 공부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능 국어 독서 EBS 연계율의 진실 (feat: 수특/수완 안해도 될까?) (0) | 2023.04.11 |
---|---|
노베이스는 도대체 국어 공부를 어떻게 시작해야할까? (0) | 2023.03.23 |
서울대생의 국어 모의고사 10점 올려주는 꿀팁! (0) | 2023.03.23 |
안정적인 국어 1등급으로 가는 방법 (국어 모의고사 푸는법, 공부법) (0) | 2023.03.23 |
수능 국어 성적은 어떻게 올리는걸까? (단계별 접근법) (1) | 2023.03.19 |
댓글